[속성] 기존 스타일 속성 값을 다른 속성 값으로 전환하는 속성

2025. 3. 9. 08:28·Language/CSS
목차
  1. 동적으로 기존 속성 값을 변경은 어떻게 할까?
  2. 전환
  3. transition-property 속성
  4. transition-duration 속성
  5. transition-delay 속성
  6. transition-timing-function 속성
  7. transition 속성 한 번에 정의하기

 

 

 


 

동적으로 기존 속성 값을 변경은 어떻게 할까?

 

 


 

 

 

 

전환

 

--

전환은

한 요소에 적용된 스타일 속성값을 다른 속성값으로 변하게 하는 것이다.

 

예시 코드

<style>
    .red-box{
        width:100px;
        height:100px;
        background-color:red;
    }
    .red-box:hover{
        background-color:blue;
    }
</style>

<!-- 생략 -->

<body>
    <div class="red-box"></div>
</body>

위 방법처럼 :hover를 통해 빨간색 박스에 마우스를 올리면 파란색 박스로 변하는 것을 전환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전환 효과를 직접 속성으로 지정할 수 있게 "전환 효과 속성"이 존재한다. 

--

 

 

 

 

transition-property 속성

 

--

전환 효과를 적용할 대상 속성을 지정하는 속성이다.

 

기본 형식

transition-property: 속성값;

 

속성 값에는 전환 효과의 대상이 되는 속성명 or 정해진 키워드를 사용한다.

  • 속성명
  • none  :  전환 효과 속성을 지정 X (기본 값)
  • all  :  모든 속성을 전환 효과 대상으로 지정

 

예시 코드

/* background-color 속성에 전환 효과 적용 */
transition-property: background-color;

/* 여러 속성에 전환 효과 적용 */
transition-property: background-color, color, width;

/* 개별 속성이 아닌 모든 속성에 전환 효과 적용 */
transition-property: all;

--

 

 

 

 

transition-duration 속성

 

--

전환 효과의 지속 시간을 설정하는 속성으로 초 단위 값을 사용한다.

어떤 요소에 전환 효과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transition-property와 transition-duration 속성을 함께 사용해야 한다.

 

기본 형식

transition-duration: 시간;

 

예시 코드

transition-property: background-color, color, width;
transition-duration: 1s, 500ms, 2s;
  • background-color 속성은 1초 동안 전환 지속
  • color 속성은 0.5초 동안 전환 지속
  • width 속성은 2초 동안 전환 지속

--

 

 

 

 

transition-delay 속성

 

--

전환 효과의 발생을 지연시키기 위한 속성이다.

(n초 뒤에 전환 효과 동작)

 

기본 형식

transition-delay: 시간;

 

예시 코드

transition-property: background-color;
transition-duration: 1s;
transition-delay: 1s;

--

 

 

 

 

transition-timing-function 속성

 

--

전환 효과의 진행 속도를 지정하는 속성으로

속성 값으로는 정해진 키워드 or cubic-bezier() 함수를 사용한다.

 

기본 형식

transition-timing-function: 속성값;

 

 

예시 코드

.container .bar{
    width:10px;
    transition-property:width;
    transition-duration:5s;
}
.container:hover .bar{
    width:110px;
}

.bar:nth-child(1){
    transition-timing-function:linear;
}

bar 클래스를 가진 태그의 너비가 처음에 10px에서 5초 뒤에 110px이 된다.

이론상 1초에 20px씩 증가하는데 해당 증가하는 값의 속도를 transition-timing-function 속성으로 제어한다.

--

 

 

 

 

transition 속성 한 번에 정의하기

 

--

거의 모든 전환 효과 속성을 transition 속성을 통해 한 번에 작성 가능하다.

 

기본 형식

transition: property, duration, timing-function, delay;

 

 

예시 코드

transition-property:width;
transition-duration:1s;
transition-timing-function:ease-in;
transition-delay:1s;
transition:width, 1s, ease-in, 1s;

--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Language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성] 요소 자체(크기, 위치, 회전 등)를 변형하는 효과 속성  (0) 2025.03.14
[속성] 애니메이션 속성을 통해 전환 효과 제어  (0) 2025.03.14
[속성] 위치 관련 속성으로 요소 배치하기  (0) 2025.03.06
[속성] 요소의 배경 관련된 속성  (0) 2025.03.06
[속성] 박스 모델을 구성하는 속성 (margin, padding 등)  (0) 2025.03.05
  1. 동적으로 기존 속성 값을 변경은 어떻게 할까?
  2. 전환
  3. transition-property 속성
  4. transition-duration 속성
  5. transition-delay 속성
  6. transition-timing-function 속성
  7. transition 속성 한 번에 정의하기
'Language/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속성] 요소 자체(크기, 위치, 회전 등)를 변형하는 효과 속성
  • [속성] 애니메이션 속성을 통해 전환 효과 제어
  • [속성] 위치 관련 속성으로 요소 배치하기
  • [속성] 요소의 배경 관련된 속성
아-니지
아-니지
아-니지
성장 기록.zip
아-니지
  • 분류 전체보기 (266)
    • Language (76)
      • Java (39)
      • Kotlin (0)
      • HTML (10)
      • CSS (17)
      • Java Script (10)
    • JPA (11)
    • Spring Boot (27)
    • QueryDSL (2)
    • SQL [DB] (8)
    • Docker (29)
    • AWS (19)
    • Git & GitHub (17)
    • DevOps (1)
    • Terminology (14)
    • CS (50)
      • 컴퓨터 구조 (12)
      • 운영체제 (11)
      • 자료구조 (11)
      • 알고리즘 (0)
      • 네트워크 (16)
    • Record (7)
      • 알고리즘 풀이 (4)
      • 자바 메서드 (3)
    • Self Q&A (5)
hELLO· Designed By정상우.v4.5.3
아-니지
[속성] 기존 스타일 속성 값을 다른 속성 값으로 전환하는 속성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