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자료형 : string(문자열), number(숫자), 논리(boolean), undefined, null, Symbol
참조 자료형 : object(객체)
--
문자열 (string)
--
문자열을 가지는 자료형으로 작은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묶은 문자열을 값으로 가진다.
예시 코드
let string1 = "Hello, World!";
let string2 = 'Hello, World!';
console.log(string1);
console.log(string2);
-----출력 결과-----------------------------------
Hello, World!
Hello, World!
문자열에 작은 따옴표(')가 들어가야 하면 해당 문자열은 큰 따옴표(")로 묶어야 하고 큰 따옴표(")가 들어가야 하면 해당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로 묶어야 한다. 아니면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여 문자열 안에 작은/큰 따옴표를 넣을 수도 있다. ES6에서 추가된 기능으로 "백틱(`)"으로 문자열을 묶어서 정의할 수도 있다.
백틱 특징 - 문자열 내부에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 모두 작성 가능 - 문자열에 엔터하여 줄 바꿈 한 내용도 모두 적용 - $() 문법으로 문자열 내부에 변수 or 식을 넣어 해당 값을 문자열에 포함 가능 (ex. let string = `${a} 곱하기 ${b}는 ${a * b}다.`; / 5 곱하기 4는 20다.)
--
숫자 (number)
--
모든 숫자를 값으로 가지는 자료형이며
정수와 실수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숫자를 취급한다.
예시 코드
let num1 = 10;
let num2 = 0.1;
console.log(num1);
console.log(num2);
-----실행 결과----------
10
0.1
주의 실수를 부동 소수점 방식으로 표현하므로 실수 계산이 정확하지 않다. ex. let sum = 0.1 + 0.2; / 0.3000000000004
--
논리 (boolean)
--
참(true)와 거짓(false) 값만 가지는 자료형이다.
예시 코드
let boolean1 = true;
let boolean2 = false;
let boolean3 = 10 < 20;
let boolean4 = 10 > 20;
console.log(boolean1);
console.log(boolean2);
console.log(boolean3);
console.log(boolean4);
-----실행 결과-------------
true
false
true
false
--
undefined
--
변수나 상수를 선언할 때 값이 없을 경우 임시로 할당되는 데이터로
undefined 자체가 값으로 들어가며 아직 값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예시 코드
let empty;
console.log(empty);
-----실행 결과----------
undefined
--
null
--
선언한 공간이 비어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시 코드
let empty = null;
console.log(empty);
-----실행 결과---------
n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