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Git & GitHub
Git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젝트를GItHub 원격 저장소에 어떻게 업로드할까?      Git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GitHub 원격 저장소 등록하기 git remote add (원격 저장소 이름) (원격 저장소 주소)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A-nijy/github-test.git git으로 관리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github 원격 저장소를 등록하는 코드이다. (원격 저장소 이름)은등록할 원격 저장소의 이름을 지어주는 것으로 보통 origin으로 많이 작성하고원하는 이름으로 작성 가능하다. (원격 저장소 주소)은github의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작성하면 된다.    Git 프로젝트의 커밋 내역들을 GitHub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하기 git ..
·Git & GitHub
Vi모드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은 무엇이 있을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Vi 명령어기능상세 기능i텍스트 입력 시작명령어 입력 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ESC텍스트 입력 종료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명령어 입력 모드로 전환:q저장 없이 종료vi 모드 종료:q!저장 없이 강제 종료vi 모드 종료:wq저장 후 종료vi 모드 종료k위로 스크롤 이동vi 내용을 스크롤 이동j아래로 스크롤 이동vi 내용을 스크롤 이동    참고 및 출처https://www.inflearn.com/course/%EC%A0%9C%EB%8C%80%EB%A1%9C-%ED%8C%8C%EB%8A%94-%EA%B9%83
·JPA
JPA는 무엇이며 왜 사용할까?      기존 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할 때객체 지향 언어 + 관계형 DB를 사용하여 개발한다. 그래서 객체를 관계형DB에 저장(보관)을 해야 하는데이때 쿼리를 반복적으로 많이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ex. 회원 객체 하나를 관계형 DB에 저장, 조회, 수정 등을 하기 위해서 수많은 SQL문을 사용) 이것이 바로 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이다.= 무한 반복 코드 작성+ 도중에 필드, 속성 하나를 추가하기 위해 관련된 모든 곳에도 수정 하지만 관계형 DB를 사용해야 하며, 관계형 DB와 통신하기 위해 결국 SQL을 사용즉, SQL에 의존적인 개발을 피하기는 어렵다.--    객체를 관계형 DB에 저장하는 과정 -- 위 과정처럼..
·Spring Boot
application.yaml에 다양한 설정들을 해주었는데이 설정들이 무엇을 설정해 주는 것일까?      application.ymlspring: datasource: url: "jdbc:h2:mem://localhost/~/shopping;MVCC=TRUE"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dialect: org.hi..
·Spring Boot
서버를 정지할 때마다 해당 에러가 나오는데왜 이러는 걸까?     스프링 부트에서 서버를 오류 없이 잘 사용하다가 정지를 하면 오류가 나온다. 코드에도 문제가 없고 실행할 때도 문제가 없었는데왜 서버를 종료하면 에러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gradle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실행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이다. intellij에서는 기본적으로 gradle로 실행을 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이를 gradle이 아닌 intellij IDEA자체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설정을 변경해 주면 된다.  File -> Setting에서 gradle창에 들어가면Build and run using과 Runtests using이 있다. 이 값들을 intelliJ IDEA로 변경해 주면 된다.  그리고 인텔리제이를 ..
·Git & GitHub
특정 branch가 역할들을 모두 구현하여 다른 branch와 합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브랜치를 합치는 방법으로는 Merge와 Rebase가 존재한다.   1. Merge (병합)  두 개의 branch를 서로 이어 붙이는데 그 과정에서 합쳐진 커밋이 하나 생기게 된다. main 브랜치에 초록 브랜치의 내용들을 모두 적용한 다음 커밋을 하는 느낌이다. 그러다 보니 기존 브랜치의 흔적이 남아있게 된다.   merge를 이용해서 브랜치 합치기  (main 브랜치에 develop 브랜치를 합친다.) 1. 합쳐져야 할 브랜치로 이동을 한다.git switch main  2. 현재 위치한 브랜치로 합칠 브랜치를 merge 한다.git merge (브랜치 이름)git merge develop  ..
·Git & GitHub
branch에 관련된 기본 명령어는무엇이 있을까?      1. branch 생성 git branch (브랜치 이름)git branch develop    2. branch 조회 git branch 로컬과 원격의 모든 브랜치 조회하기git branch --all   3. branch 이동 다른 branch로 변경하기git switch (브랜치 이름)git switch develop    4. branch 삭제 브랜치 삭제git branch -d (브랜치 이름)git branch -d develop  브랜치 강제 삭제git branch -D (브랜치 이름)    5. branch 이름 수정  git branch -m (기존 브랜치 이름) (새 브랜치 이름)git branch -m master main   ..
·Git & GitHub
프로젝트의 새로운 내용이나 변경사항들을commit 하는 방법이 무엇일까?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로 옮겨 담기 특정 파일 하나만 담기git add (파일명.확장자)git add hello.txt  working directory에 있는 모든 파일 담기 (.gitignore에 작성한 목록들을 제외)git add .    Staging area에서 Repository로 commit하기 vi 모드로 이동해서 따로 commit 메시지를 작성하여 commit 하기git commit  commit과 commit메시지를 한 번에 작성하여 commit 하기git commit -m "(커밋 메시지)"git commit -m "FIRST COMMIT"    Working di..
아-니지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1 Page)